본문 바로가기

AWS

IoT 서비스 migration

작은 경험에 비추어 예전에 구축했던 IoT 서비스를 AWS Service로 마이그레이션하면 어떻게 될까요?

 

예전 IoT서비스 구성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AS-IS)

 

<서비스 Sequence>

1. 비콘기기를 가지고 있는 차량이 매장에 근접하면 근접거리통신으로 매장에 설치된 신호수집장치로 신호 전달.

2. 신호수집장치는 비콘기기정보를 Server(Pubs)로 전달.

3. Server(Pubs)는 RabbitMQ로 메세지를 전달(Publish).

4. Server(Subs)는 RabbitMQ로 부터 메세지를 수신(Subscribe).

5. Server(Subs)는 내부로직에 의해서 주문API호출하고 동시에 mongodb에 로그를 저장.

 

AWS 서비스로 마이그레이션할 경우 다음과 같은 구성가 예상됩니다. (TO-BE)

 

<장점>

1. 각 장비나 서비스들에 대한 관리이슈가 많이 작아짐.

2. 트래픽이 늘어거나 줄어들 경우 능동적으로 대처가 가능함.

3. 서비스 가용성이 향상 더욱 좋아짐.

4. 스타트업의 경우 개발에만 집중 가능함.

 

<단점>

1. 트래픽이 별로 발생하지 않는 서비스에서는 AWS Cloud의 장점을 얻지 못할 수도 있음.

 

이제 다음에는 실제 AWS 서비스로 구축해보겠습니다.